[앵커]<br />다른 나라에서 물건을 직접 사들여오는 해외 직구가 갈수록 늘고 있는 만큼 그에 따른 민원 문제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소비자원이 국제거래지원팀까지 신설해 피해 해결에 나서고 있지만, 피해 해결률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40%대에 불과한 실정입니다.<br /><br />강태욱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해외 직구 물품만 취급하기 위해 관세청이 지난 6월 설립한 최첨단 통관 물류센터입니다.<br /><br />절차를 자동화하면서 1시간에 3천 건 처리 용량을 3만 건으로 무려 10배나 늘렸습니다.<br /><br />이는 2010년 한 해 896만 건이었던 해외 직구 물품이 지난해 2,350만 건으로 5년 새 무려 2.6배나 늘어난 것을 감당하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추정 금액만 1조 7천억 원.<br /><br />이렇게 해외 직구가 늘고 있는 만큼 소비자 피해도 급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3년 47건이던 소비자피해는 2014년 150건으로 세배나 늘더니 지난해 176건, 올해는 8월까지만도 벌써 278건에 이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해결률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원이 지난해 국제거래지원팀까지 만들었지만 피해 해결률은 2013년과 2014년 각각 49%, 45%였던 것이 지난해와 올해 48%, 45%로 그대로입니다.<br /><br />이는 피해 건수가 많은 국가 2위인 중국을 포함해 4위, 5위인 싱가포르, 영국 같은 주요 국가와 관련 MOU를 맺지 못하는 등 협조를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구매와 배송 대행 문제는 국내 사업자로, 직접구매 문제는 해외사업자로 구매 방식에 따라 해결 방법도 나누어져 있는 탓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영주 / 민주당 정무위 의원 : 한국소비자원은 해외 직구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소비자 피해 경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국민들께 알려야 하고 직접 구매 피해 관련 국내법 적용 등 피해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.]<br /><br />그런 만큼 소비자가 피해에 직면했을 때 혼란을 피하고 해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팀이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YTN 강태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01805041024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